2주차 스터디를 멋지게 해치우신 여러분! 환영합니다~~ 3주차 실습입니다😝

다들 스프링 입문 스터디 방식에 어느 정도 적응을 끝내셨을 거라고 생각되는데요, 이번 주는 추가 실습이 있답니다 호호.. 왜 준비했는지 설명해드릴게요.

추가 실습 왜 해야하나요?! 😥

이번주 교재 실습은 화면 구성을 주로 다루고 있어서, 자바보다는 HTML과 JavaScript 코드의 비중이 훨씬 큽니다. 그 이유는 교재가 서버 측에서 HTML 파일을 만들어 클라이언트에 반환하는 SSR(Server Side Rendering) 방식을 채택하고 있기 때문입니다. 저자 분은 어드민 서비스나 통계 서비스 등에서는 백엔드 개발자가 화면 구성을 해야하는 경우가 있으므로 한번 경험해보는 것이 도움이 된다고 소개하셨어요. 하지만 저희는 겨울 방학에 다가올 Solution Challenge에서 다양한 스택의 프론트 개발자분들과의 협업을 대비해야 하기 때문에 추가 실습으로 CSR(Client Side Rendering) 방식의 Rest Controller를 알아보고, 테스팅 툴 Postman으로 HTTP 요청 테스트를 진행보겠습니다.

교재 실습은 이렇게!

추가 실습이 있기 때문에, 교재 실습의 HTML, JavaScript 코드는 직접 치기보다는 저자 분의 깃허브에서 복붙하고 한번 읽어보는 방식으로 진행하는 것을 권해드려요. (스프링 외의 코드 양이 꽤 많습니다!) 특히 이번주는 스프링 부트 버전에 변경이 있습니다. 스프링 부트 2.7.x 버전에서는 mustache의 한글 깨짐 이슈가 있어 2.6.7 버전으로 변경합니다. 3주차 교재 실습 설명 노션을 참고해주세요.

추가 실습은 이렇게!

추가 실습에서는 교재에서 나왔던 게시글 등록, 조회, 수정, 삭제 컨트롤러를 JSON 데이터를 내려주는 Rest 컨트롤러 코드를 살펴보고, 해당 컨트롤러가 잘 동작하는지 Postman이라는 프로그램으로 우리가 만든 API를 테스트해봅니다.

추가 공부 레퍼런스 활용은 이렇게!

다들 추가 공부를 너무 잘 해주고 계신데요! 이번 주는 추가 실습이 있기 때문에, 주제는 딱 6개만(ㅎㅎ..) 다루도록 하겠습니다. 각자 상황에 맞게 선택해서 진행해주세요.

3주차 스터디 활동 정리

  1. 필수 : 교재 실습(SSR)
  2. 필수 : 추가 실습(CSR과 Postman 사용)
  3. 선택 : 추가 레퍼런스로 공부
  4. 담당자만 : 모각글 활동